일간검경

<외톨이 범죄> 5화. 만취, 잔혹한 밤, 순천 18세 여성 마직막 밤

무작위적 폭력의 공포, 다시 일어난 비극

논설위원 최민규 | 기사입력 2024/09/29 [22:10]

<외톨이 범죄> 5화. 만취, 잔혹한 밤, 순천 18세 여성 마직막 밤

무작위적 폭력의 공포, 다시 일어난 비극
논설위원 최민규 | 입력 : 2024/09/29 [22:10]

 

술과 폭력

잔인한 범죄의 그림자

 

순천에서 발생한 박모(30)씨의 사건은 지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18세의 어린 소녀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한 이 잔혹한 사건은 단순한 폭력 이상의 문제를 제기한다.

박씨는 사건 당일 술에 만취한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으며, 그가 범행 당시 피해자와 아무런 연관이 없다는 사실은 이번 사건이 무작위적 폭력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범죄 이상의 사회적, 법적 문제를 환기시키며, 그 배경에는 더 큰 문제들이 존재한다.

 

알코올 남용과 무작위적 범죄

폭력의 도화선

 

알코올은 범죄의 동기로 작용할 때 강력한 도화선 역할을 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술에 취한 상태에서 벌어지는 폭력 사건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자제력을 무너뜨리고 무차별적이고 비이성적인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박씨 사건에서처럼 술에 취한 상태에서 일어난 무작위적인 폭력은 대중에게 큰 불안감을 안기며, 이러한 범죄는 예측하기 어려운 위험성을 띠게 된다.

박씨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알코올이 그의 폭력적인 충동을 자극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알코올이 범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은 우리가 더 깊이 고민해봐야 할 문제이다.

 

사회는 알코올 중독이 단순히 개인의 선택이나 책임이 아니라, 범죄 발생률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범죄 예방을 위해 사회 전반적으로 술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더 강력한 제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법적 대응의 한계

개선 필요성

  

술에 취한 상태에서 일어난 범죄에 대한 현행 법적 제재는 충분한가?

이번 사건은 법적 제재가 이러한 범죄를 막는 데 있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현행법에서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범죄를 저지른 경우, 종종 감형 사유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오히려 범죄를 저지르는 개인들에게 알코올이 일종의 '면죄부'처럼 작용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박씨 사건과 같은 무작위적 폭력에 대해 우리는 더 강력한 법적 대응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술에 취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대한 처벌 강화, 재범 방지를 위한 시스템 구축, 알코올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확대 등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범죄자에게만 책임을 묻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폭력적 행동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분석하고, 이러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사회적 구조가 필요하다.

 

피해자의 두려움

지역 사회의 상실감

 

이번 사건은 단순히 법적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피해자가 겪었을 두려움과 고통, 그리고 지역 사회가 느꼈을 충격과 상실감을 무시할 수 없다.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피해자는 공격을 당하기 전 필사적으로 도움을 요청했으나, 아무도 그 어린 소녀를 지킬 수 없었다.

 

이러한 장면은 우리 모두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며, 우리는 그 소녀의 공포와 고통을 잊지 말아야 한다.

피해자의 가족과 지역 사회는 갑작스럽게 빼앗긴 한 생명에 대한 상실감과 분노를 느끼고 있다.

젊은 생명이 그토록 무의미한 방식으로 사라진 사건은 단순히 가해자에 대한 처벌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어떻게 이와 같은 비극을 방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해결책

예방적 차원의 접근 필요

  

이와 같은 무작위적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우리는 단순히 범죄자를 처벌하는 것을 넘어서야 한다.

알코올과 관련된 범죄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우선, 알코올 중독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술에 취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고립을 느끼는 사람들이 범죄에 빠지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알코올 남용과 범죄의 연관성을 단순한 개인의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이번 사건이 우리가 그동안 간과했던 문제를 드러낸 만큼, 이를 교훈 삼아 더 나은 사회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논설위원  최민규

cmg9831@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